전공능력 | 내용 | KSA | 설명 | 코드 | 관련교과목 | |
주역량 | 부역량 | |||||
특수교육 대상학생 이해 역량 (F) | 초등과정 특수교육 대상자의 특성 및 요구 수준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특수교육 전달방안(개졀화교육계획, 관련 서비스, 전환교육 포함)개발 및 실천 능력 | K | 특수교육 역사 및 철학. 특수교육대상자의 유형 및 특성, 특수교육 전달 모형, 특수교육 교육과정, 관련법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. | F-K | -특수교육학 -시각/청각/지적/지체/자폐성장애학생교육 등 |
-특수교육상담 -보행훈련의이론과실제 외 |
S | 특수교육대상자에 적합한 득수교육 전달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다. | F-S | ||||
A | 교사로서의 윤리의식을 바탕으로 학생을 포용한다. | F-A | ||||
특수교육 교과교육 운영 (S) | 특수교육 대상학생 특성을 고려하여 학교 및 학급 단위의 각과 교육과정(국어, 수학, 사회, 과학 등의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) | K | 각과 교육과정 체계, 내용. 교수학습 장법 및 평가 관련 이론의 내용을 열거하고 논의할 수 있다. | S-K | -특수아초등국어/특수아초등국어교수법/특수아초등사회/특수아초등사회교수법/특수아초등수학/특수아초등수학교수법 등 | -초등통합교육실습(기초) -초등통합교육실습(심화) |
S | 교과별 특성을 반영하여 중등과정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적합한 교수-학습 과정(안)을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 | S-S | ||||
A | 양질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새로운 방안을 적용하여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한다. | S-A | ||||
특수교육 평가체제 운영 역량 (E) | 특수교육 대상자의 선정 과정 실행 및 학습자 교육 평가(형식적, 비형식적)체제 운영 역량 | K | 특수교육대상자 진단 도구와 교육평가 실시방법을 열거하고 결과의 교육적 함의를 해석할 수 있다. | E-K | -특수아진단및평가 | -특수아개별과교육 -특수아행동지원 -특수교육연구방법(중특)외 |
S | -진단평가도구의 사용 목적과 실시 절차에 따라 진단평가를 할 수 있다. -진단평가 결과의 교육적 함의를 해석할 수 있다. | E-S | ||||
A | 진단 및 평가 과정에서 전문가로서의 윤리적 행동을 취한다. | E-A | ||||
학급 운영 역량 (M) | 특수학교 내 학급 및 일반 중•고등학교 내 특수학급의 효율적인 운영 능력 | K | 학급운영 관련 국가와 교육청의 지침 및 규정을 설명하고 학생생활지도 원리를 나열할 수 있다. | M-K | -초등특수교육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-초등통합교육실습(심화) | -초등통합교육실습(기초) -특수아개별확육 -특수아행동지원 -특수교육교육과정 -초등특수교육론 -특수아초등국어 외 |
S | 특숙육대상학새으이 요구 및 교육상황에 적절한 학급 운영을 할 수 있다. | M-S | ||||
A | 학급 운영자로서의 책임감을 갖고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한다. | M-A | ||||
전문가 협력 적용 역량 (C) |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 적요을 위해 관련 전문가들(교사, 관리자.학부모.치료사 등(간의 협력 관계 형성 및 실천 역량 | K | 특수교육 기관의 체제와 문화속에서 전문가 간 협력 방안에 대해 제시할 수 있다. | C-K | -중등통합교육실습(기초) -특수아개별화교육 | -초등통합교육실습(심화) -초등특수교육교과논리및논술 외 |
S | 학교 현장 전문가 간의 협력 관계를 형성하고 의견을 조정할 수 있다. | C-S | ||||
A | 협력과정에서 상대 전문가에 대해 포용하고 배려한다. | C-A |